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장품 이론 & 성분181

바쿠치올 (Bakuchiol) 바쿠치올은 전통적인 인도와 중국의 약초 주요허브 중 하나이며, 피부질환의 치료, 습진과 모발치료에 사용되어왔습니다. 바쿠치올은 보골지씨앗에서 분리된 일종의 모노테르펜 페놀 화합물로 구조는 레스베라트롤과 유사하며 효과는 레티놀과 유사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레티놀보다 우수하며 항염증, 항균, 여드름, 미백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Crosstalk between HIF-1α and SIRT-1 is bolstered by the natural ingredient bakuchiol but not retinol 결과적으로 노화억제 인자인 HIF-1과 SIRT 를 바쿠치올이 모두 증가시키며, 종양억제유전자인 CREBBP 도 바쿠치올에 의해 유의미하게 상향조절되었다. 바쿠치올은 다중표적효과를 가지며 레티놀과 비교..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15.
[계면활성제] ECOSURF EH-9 SURFACTANT Name : Alcohol ethoxylate 이명 : 2-ehtylhexanol EO-PO, Oxirane, 2-methyl-, polymer with oxirane, mono(2-ethylhexyl) ether CAS NO : 64366-70- 7 비이온계면활성제이다. Benefits * 표면젖음성이 뛰어남 (superior wetting) * 오일성 오염물 제거 뛰어남 (excellent oily soil removal) * 빠르게 용해되고 씻김성이 좋음 (rapid dissolution & good rinseability) * 즉각적 생분해 (readily biodergradable) msds 상의 생분해도 (oecd 301f) : 60% 이상 * 수생독성 Aquatic toxicity EC50 ..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13.
세탁용 캡슐세제의 조성물과 기능 세탁용 캡슐세제의 조성물 계면활성제 30-35% - 비이온 계면활성제 - 음이온 계면활성제 : 2.7를 초과할때는 효과가 없을뿐 아니라 세탁물 표면에 흡착될 가능성이 높아짐 고농축 세제 계면활성제 함량 80% 이상까지도 포함 안정화제 3-4% - 포스파이트, 산화방지제, 티오시너지스트, 산 스캐빈저, 활택제, 분산조제, uv 흡수제, 입체장애 페놀 저장성 액체배합물로 수용성 필름내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효소 0.2-0.7% 단백질 분해효소인 카텝신류, Matrix metalloproteinase 류 , 카스파아제, 세크레타아제, 유로키나제, 등 산도조절제 1-2% 세탁물의 유지얼룩 제거 효과 우수 중성내지 알칼리성을 띄는 임의의 저분자량 유기화합물로,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다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12.
1,4-dioxane 에 대한 fda 의 답변 1,4-dioxane 에 대한 fda 의 답변 https://www.fda.gov/cosmetics/potential-contaminants-cosmetics/14-dioxane-cosmetics-manufacturing-byproduct#What 1,4-dioxane 이란 무엇인가? 1,4-디옥산 화합물은 일부 화장품에 함유된 미량의 오염물질입니다.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화장품에 극히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1,4-디옥산은 특정화장품 성분의 제조과정에서 부산물로 형성됩니다. PEG 로 식별되는 특정 세제, 발포제, 유화제 및 용매가 포함됩니다.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 “-eth-”, “-옥시놀- 1,4-dioxane 은 해롭습니까? 1,4-디옥산은 잠재적..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8.
[세제성분] 과탄산나트륨 Sodium carbonate peroxide 과탄산소다는 알칼리성분의 산소계 표백제로 청소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물에녹였을때 과다한 발생기산소가 생성되어 표백등의 역할을 합니다. 물에 녹였을때의 반응식 2Na2CO3·3H2O2 → 2Na2CO3 + 3H2O2 → 2Na2CO3 + 3H2O + 3O 탄산나트륨에 과산화수소가 붙어있는것으로, 물과 만나 가수분해되어 과산화수소가 발생하고, 과산화수소가 분해되어 활성산소가 발생합니다. 이때 활성산소가 산화작용을 일으켜 얼룩을 제거하여 표백작용을 합니다. 활성산소는 얼룩뿐 아니라 단백질을 분해하여 타이드나 아미노산같은 수용성 물질로 만들어버립니다 찌든때의 주성분은 지방과 단백질인데, 과산화수소에서 발생되는 활성산소가 단백질을 분해하여 때가 빠지게 됩니다. 산소를 발생시키므로 환경오염이 없고 사용후 찌꺼기나..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