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1

[향료] Tetramethyl acetyloctanhydronaphthalenes Chemical name Tetramethyl acetyloctanhydronaphthalenes CAS NO 54464-57-2 ECHA - SUBSTANCE INFOCARD 에 의하면 민감성 물질로 알러지피부에 자극이 있을수 있음. 모든 화장품에 포함된경우 0.001% 이상 함유되었을경우 라벨링 필요, 씻어내는 제품은 0.01% 모든 장난감에 100mg/kg 를 초과하는 농도로 첨가된경우 라벨링이 필요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24.
ISOBUTYL METHYL TETRAHYDROPYRANOL safety assessment Chemical name ISOBUTYL METHYL TETRAHYDROPYRANOL CAS NO 63500-71-0 safety assessment 독성 및 환경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유전독성 및 피부감작 가능성이 없으며 환경독성은 IFRA 환경표준에 따라 PBT 가 아닌것으로 발겨졌으며, 유럽과 북미에서 현재 사용량을 기준으로 한 위험지수는 즉 환경에의 위험이 낮다. PEC/PNEC ration 가 1보다 작으면 환경에의 위험이 낮다 카테고리 없음 2024. 3. 23.
캡슐세제의 수용성 비닐성분 PVA 의 생분해 이슈 수용성 고분자란 수용성 고분자는 물에 용해되거나 물을 빨아들여 부풀어오르는 고분자를 말하며, 식품, 섬유, 피복재, 제지, 건강용품, 기름회수, 폐수처리, 생의학, 의약분야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수용성고분자의 종류 비이온계 : PAM / PNIPAA, PEG, PEO, PVA 양이온계 : PDADMAC, PDADEMAC, PDEAEMA 음이온계 : PAA, PMA, PFA, PVSA 복이온계 : Polybetaines, Polyampholytes, Temlate polymers 수용성 고분자의 생분해 이슈 PVA 는 세탁세제, 주방세제등의 타블렛에 많이 사용되오오고 있으나 고분자가 수용성을 가지면 미생물등에 의해 잘 분해되지만, 수용성 고분자이 독성자체가 문제가 되거나, 수중생태계의 교란물질로 작용.. 카테고리 없음 2024. 3. 22.
향료성분-에틸렌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안전성 에틸렌브라실레이트 에틸렌브라실레이트는 합성향료성분으로 달콤하고 사향같은 향을 내는데 사용되는 성분으로 독성은 없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hemical Name Ethylene brassylate cas no 105-95-3 Synonyms Astratone, Musk T structure 에틸렌브라실레이트 안전성 RIFM*에 따르면 에틸렌브라실레이트는 유전독성, 반복투여독성, 발달 및 생식독성, 국소 호흡기 독성, 광독성/광알레르기성, 피부 감작성 및 환경 안전성에 대해 평가되었고, 유전독성이 없으며 피부 감작 가능성도 없습니다. *RIFM (The Research Institutue for Fragrance Materials, 향료소재연구소) 은 향재료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국제 과학 기구 입니다. R..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21.
[착향제 성분] 카르본 CARVONE CARVONE 은 많은 에센셜오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테르페노이드 계열의 향료입니다. 카르본은 두가지 거울상 이성질체를 형성하는데 R-(-)-CARVONE 은 스피어민트잎과 같은 달콤한 민트냄새가 나며, 거울상인 S-(+)-CARVONE 은 캐러웨이 씨앗과 같은 호밀향이 나는 매운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CAS NO. 2244-16-8 (D-) 6485-40-1 (L-) 99-49-0 (misc.) RIFM 의 안전성 평가 l-carvone 은 유전독성, 반복투여독성, 생식독성, 국소호흡기독성, 광독성/광알레르기성, 피부감작성 및 환경안정성에 대해 평가된 결과 유전독성이 없으며 광독성/광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국제 향료협회(ifra) 환경표준에 따라 잔류성, 생생물농축성 및 독성 (pbt) 도.. 화장품 이론 & 성분 2024.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