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OE VERA

beautymentor 발행일 : 2024-04-10 최종 업데이트 : 2024-04-10
반응형

 

Aloe 는 다년생의 다즙 식물이며, aloe 속에는 약 500여 종이상이 알려져 있으나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는것은 6~7종에 불과하다

aloe vera 는 여러 알로에 속에 포함된 종들 중에 상업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aloe vera 추출물 제조는 세계 최대의 식물산업중 하나이다. aloe vera 는 다양한 지방산, 호르몬, 유기산 등 약 200여가지 활성화 성분들을 가지고 있다. aloe vera 는 살리실산, 마그네슘락테이트 및 다양한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트롬복산 a2, 트롬복산 b2, prostaglandin e2 의 생산을 억제하기 때문에 항염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따. 또한 최근 aloe vera 추출물에서 발견된 c-glucosylchromone 은 새로운 항염증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비타민 중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folic acid, choline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aloe vera 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을것으로 예상한다. aloe vera 에는 여러 효소 성분들도 포함되어있는데, 특히 brandykinase 는 피부에 도포하였을때 과도함 염증을 줄여주는것으로 알려져있따. 또한 aloe vera 는 다당류인 glucomannam 및 acemannan 이 풍부함이 확인되었으며, 이 외에 여러 polysaccharide 들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aloe vera 의 mucopolysaccharide 는 보습 기능을 가지고 있기에, aloe vera 는 건조 피부용 보습물질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당류인 glucomannan 과 성장호르몬인 gibberellin 은 섬유아세포의 성장인자와 상호작용,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창상치유에 도움이 되는것으로 알려져있다. 

 

최근에는 alprogen 이라는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당 단백질이 aloevera gel 에서 확인된 바 있는데  alprogen 은 비만세포로의 칼슘을 유입을 억제하여 항원-항체 매개 반응으로 인한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과 류코트리엔의 방출을 억제한다. 또한 aloevera 는 lupeol, salicylic acid, urea nitrogen, cinnamonic acid, phenols, sulfur, aloin, glucomannan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통해 항바이러스, 항균,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것으로 알려져잇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