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성분] 지방산 스테아릭애씨드의 기능과 여드름유발 가능성
반응형
스테아릭애씨드는 고급지방산으로 유지로 사용될때는 점증제, 보조유화제, 불투명화제등으로 사용되며 비누화하여 폼클렌저등에 세정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스테아릭애씨드는 비누화하면 거품이 크고 세정력이 높습니다. 스테아릭애씨드는 왁스형태이기 때문에 원료자체로서 모공을 막을 수 있지만 화장품에 배합될경우 모공을 막을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여드름피부에서 굳이 유의해야할 성분은 아닙니다.
성분명(국문 /INCI name / 중문 / 일어)
- 스테아릭애씨드
- Stearic Acid
- 硬脂酸
- ステアリン酸
기원 및 정의
이 원료는 C18 개를 가지는 지방산입니다. 동물 및 식물에서 유래되어 지방과 오일을 가수분해한 후 생성된 지방산을 분별증류하여 생성됩니다.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에 사용되는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제조공정에 따라 여러가지 지방산의 혼합물로 존재합니다.
CAS No.
57-11-4
구조(Structure)
C18개로 말단에 COOH 를 가집니다.
특성(Property)
C18 개의 지방산은 유지 및 왁스로 사용되어 제형의 점성제, 유화제, 거품안정제, 불투명화제등으로 사용되는 다목적성분입니다. 또한 알칼리와 비누화시켜 유화제로서, 세정제로서 사용됩니다.
적용제품
- 스테아릭애씨드는 FDA 에 등재된 2465개의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사용된 함량은 0.1~25% 로 보고됩니다.
- 에멀젼제형 및 색조제품에서 점증제 및 유지로서 사용됩니다.
- 클렌징 제품에서 세정제로 사용된다. 세정제로 사용될경우 거품이 크고 세정력이 높습니다.
안전성(Safety)
- 미국 식품의약국 FDA 에서는 스테아릭애씨드를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간주되는 직접식품첨가물 목록(GRAS)에 포함시켰습니다. 스테아릭애씨드는 츄잉껌 베이스에도 사용되는 원료이며 화장품에 사용하기에 안전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 STEARIC ACID EWG 등급
- 스테아릭애씨드를 포함한 지방산은 독성이 없으며 피부 민감제 및 광과민물질이 아닌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눈에 자극이 없으며 13%를 함유하였을때에도 일차자극과 누적자극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단 동물성 원료에서 추출했다면 소해면상뇌증(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 BSE) 등의 증명서를 확인해야 합니다 * BSE : 소에 발생하는 변형 프리온 단백질의 감염만성 신경성 질환
지방산과 여드름
- 2006년 미국 피부과학회 저널에 실린 여드름 유발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성분으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팔미틱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코코넛오일, 시어버터, 페트롤라툼등이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코메도제닉 점수로 화장품에 포함된 성분을 단편적으로 판단하기엔 극단적입니다.
- 원료를 100% 발랐을때는 4~5 점 이지만, 희석해서 5% 미만으로 발랐을때는 코메도제닉점수가 1점대로 떨어졌기 때문에 화장품내에 5% 미만으로 배합되는 지방산은 여드름 유발 확률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되어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 출처 및 관련기사
https://www.healthtapa.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16
반응형
'화장품 이론 & 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성분] 지방알콜 - 세테아릴알코올의 기능 (0) | 2022.10.04 |
---|---|
[화장품성분_실리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5) 기능과 안전성 총정리 (0) | 2022.10.04 |
[화장품성분] PEG Free 천연가용화제_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Polyglyceryl-10 Laurate) (0) | 2022.10.03 |
[화장품성분] 헤미스쿠알란 - C13-15알케인 (C13-15 Alkane) (0) | 2022.10.02 |
블랙헤드 녹이는 클렌징밤 사용법과 피부타입별 추천 Top 3 (0) | 2022.10.02 |
댓글